[설교] 사도행전 28:1-10
바울 일행은 드디어 육지에 다다랐고 도착한 섬은 멜리데라고 하는 섬이였습니다. 유라굴라라는 광풍 속에서 하나님의 도움과 바울의 헌신으로 배에 있던 많은 사람들은 생명을 잃지 않고 살게 되였습니다. 섬 사람들은 비가 오고 추운 날씨였기에 바울 일행을 동정하며 불워 피워주며 맞아 줍니다. 바울이 나무 한 묶음을 기져다가 불을 넣으니 그 안에
있던 독사가 뜨거워서 나무더미에서 나와서 바울의 손을 물었습니다. 섬 사람은 바울을 물고 있는 뱀을 보고 이제 그가 죽을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그들은 이 사람은 틀림없이 죄인이다 바다에서는 살아 났지만 정의의 여신이 그를 살려 두지 않는다고 말하며 그가 죄를 지었기에 결국 심판을 받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요동하지 않고 가만히 그 뱀을 불 속에 떨어 뜨려 버리고 아무 해도 입지 않았습니다. 섬 사람들은 그가 부어 오르거나 당장 쓰러여 죽을 줄로 알고 기다렸지만 바울에게 아무 이상이 없자 생각을 바꾸어 그를 신이라고 했습니다. 바울도 광풍을 만나고 뱀에 물리기도 합니다. 우리는 광풍을 만나지 않고 뱀에 물리지 않아야 좋은 일로 여기지만 바울을 보면 광풍을 만나고 뱀에 물려야 하나님께서 함께 하는 사람임이 드러나고 그래야 하나님이 살아 계심을 보여 줄 수 있게 됩니다. 우리도 생각을 바꾸어야 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고난을 바라보는 눈도 우리의 고난을 해석하는 눈도 달라 지기를 원합니다.
새번역,,,그 근처에 그 섬의 추장인 보블리오가 농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가 우리를 그리로 초대해서, 사흘 동안 친절하게 대접해 주었다.<7절>마침 보블리오의 아버지가 열병과 이질에 걸려서 병석에 누워 있었다. 그래서 바울은 들어가서 기도하고, 그에게 손을 얹어서 낫게 해주었다.<8절>이런 일이 일어나니, 그 섬에서 병을 앓고 있는 다른 사람도
찾아와서 고침을 받았다.<9절>그들은 극진한 예로 우리를 대하여 주었고, 우리가 떠날 때에는, 우리에게 필요한 물건들을 배에다가 실어 주었다.<10절>
그 섬의 추장인 보블리오는 근처에 토지를 가지고 있어 바울 일행을 초대하여 사흘동안 친절하게 대접해 주었습니다. 바울을 특별하게 여긴 그는 그 많은 사람들을 대접합니다. 바울은 보블리오의 부친이 열병과 이질에 걸려 누워 있는 것을 보고 그에게 기도하고 안수하여 낫게 해 줍니다. 이 일로 섬 가운데 다른 병든 사람들도 찾아 와서 고침을 받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대접하던 추장은 아버지의 병이 낫게 되고 다른 사람들의 병도 고침을 받게 합니다. 자기들의 친절에 대한 보상을 다 받은 것입니다. 그들은 후한 예우로 바울 일행을 대접하고 그들이 떠날 때에는 필요한 물건들을 배에 실어 줍니다. 그들이 살기 위해서 바다에 버린 것들이 다시 채워지는 것입니다.
바울과 함께 배에 있던 사람들은 바울때문에 다 살았고 바울을 만나서 친절을 베푼 추장의 집에도 하나님의 큰 은혜가 임합니다. 에수님께서 마가복음에서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나타날 것이라고 하시며 "뱀을 집어올리며 무슨 독을 마실지라도 해를 받지 아니하며 병든 사람에게 손을 얹은즉 나으리라 하시더라"<막16;18절>는 말씀을 바울은 믿고 있었기에 조금도 요동하지 않은 것입니다. 믿는 자들의 표적은 비록 독을 마시는 일이 아니더라고 지금도 일어나는 일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살아 계심을 증명하고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은혜입니다. 우리도 복음을 위해서,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기 위해서 표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복음의 통로였고 축복의 통로였습니다. 바울과 함께 있는 사람들은 광풍에서도 살아났고 병도 고침을 받았습니다. 필요한 모든 것들도 공급 받았습니다. 바울 안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능력때문입니다, 말씀에 순종하고 주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바울의 믿음때문입니다. 이제 사도행전은 28장이 마지막장입니다. 우리도 바울과 이별해야 하는 시간이 오고 있지만 오늘도 바울 안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은 모든 믿는 사람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임을 다시 기억하게 됩니다. 우리는 다 보통 사람들이 아닙니다. 기도하고 표적을 구하며 우리도 살고 다른 사람들도 살리는 복의 근원으로 살게 되기를 소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