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특강 84

해석이론(Interpretation Theory) 폴 리쾨르 | 요약

해석이론(Interpretation Theory) - 폴 리쾨르 저자소개 1913년 프랑스 동남부 발랑스에서 태어나, 렌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였다. 1950-1955년 스트라스 부르 대학, 1956년부터는 파리, 소르본 대학, 1966-78년 낭테르 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하였다. 한편 이 기간 중에 시카고 대학 교수를 겸임하기도 했다. 그 후 국립과학연구소(CNRS)의 '현상학 및 해석학 연구센터' 소장으로 있었으며, 2005년 5월 20일 생을 마감했다. 제1장 담화로서의 언어 • 담화 A. 언어의 로고스(logos)는 적어도 하나의 명사와 하나의 동사를 필요로 하며, 바로 이들 두 단어의 상호 얽힘이 언어와 사고의 최초 단위를 구성한다(22). B. 참과 거짓은 담화의 "효과"이고, 담화는 두 가지 ..

특강 2023.10.30

[특강] Vern S. Poythress의 『하나님 중심의 성경 해석학』 요약

번. S. 포이트레스Vern S. Poythress의 『하나님 중심의 성경 해석학』 God-Centered Biblical Interpretation 삼위로 계신 하나님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성경 해석의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장. 성경 해석학이 맞고 있는 도전들. 죄가 들어온 이후 사람들은 하나님을 피하여 숨는 경향을 가지게 되었고, 성경 해석 또한 이 유혹속에 있다. 1 이 유혹에서 벗어나기 위해 성경에 대한 현시대의 생각들은 전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이 책에서 제기하는 기초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어떤 분이 신가? 하나님과 성경의 관계는 무엇인가? 성경의 기록을 위해 사용된 언어는 어떤 특성을 가지는 가? 의미란 무엇인가? 하나님은 우리가 ..

특강 2023.10.23

[특강] 아브라함 쿠루빌라(Abraham Kuruvilla)의 『본문의 특권』요약

아브라함 쿠루빌라(Abraham Kuruvilla)의 『본문의 특권』 1. 서론 아브라함 쿠루빌라(Abraham Kuruvilla)는 설교의 목적을 ‘신자들에게 성경에 관한 정보 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 하나님의 능력으로 사람들을 변화시키는 것, 즉 하나님의 말씀 을 방편으로 하여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도록 그들을 변화시키는 것이다.’라고 정의한다. 쿠루 빌라가 말하는 변화는 매 설교마다, 매 문단마다 습관이 변화하여 기질이 만들어지고 인격이 세워지고 그들 안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매 문단마다’라고 하는 것은 고대의 본문 곧 텍스트와 현대의 청중 사이의 간격을 해석하는 문제로, 이를 문단 신학이라고 하며, 이때 가져야 할 관심은 ‘저자는 그가 말하는 것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무엇을 실..

특강 2023.10.23

[특강] 월터 브루그만, 텍스트가 설교하게 하라 | 요약

월터 브루그만 텍스트가 , 설교하게 하라 1. (1 : p53) 설교는 현실의 이미지를 바꾸는 행위 장 1 , 장에서 월터 브루구만은 열여섯 가지 논제를 제시하며 복음적인 설교가 오늘날 전혀 새 로운 문화적 인식론적 상황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 지금은 절대적이었던 교회의 예전 방식들이 더 이상 신뢰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설교 역 . 시 변화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2) , 예전 표현 방식의 실패와 더불어 전통적으로 행해져 왔던 성경 텍스트에 대한 역사 비평 . 적 이해가 지금은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 ‘ ’ . 설교와 관련하여 크게 변한 현실은 지역 교회의 해석 공동체 에 존재하는 다원주의이다 4) , 한편에는 텍스트를 듣고 해석하는 공동체의 관점과 방향성이 다양해지는 현상이..

특강 2023.10.23

[특강] 적용, 성경과 삶의 통합을 말하다 Daniel Doriani 요약

- 1 - 적용 성경과 , . 삶의 통합을 말하다 먼저 책의 저자는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는 저자의 의도에 대해 말한다. 저자의 의도를 비평하는 사람들 역시 자기 독자들이 그들이 의도하는 의미를 찾기를 기대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 저자들이 그들의 연구에 부여하는 의미를 탐구하는 것은 옳은 일이다 그러므로 . 현대 청중에게 맞는 적용을 하 려면 저자가 원래 청중에게 의도했던 적용이 무엇 인지 알아야 할 것이다.”1) I. 전제 (적용의 본질 하나님 , , 중심적 적용 해석자) 1. 적용의 본질 본서의 저자는 1) 전통적인 견해의 입장에서 해석과 적용이론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전통적인 견해는 성경 적용을 해석의 마지막단계로 보며 이 견해에서 해석이란 저자들이 전하려는 의미 ..

특강 2023.10.23

[특강] 아브라함 쿠루빌라 『설교의 비전』 | 요약

아브라함 쿠루빌라 『설교의 비전』 - 1 - Abraham Kuruvilla, A Vision for Preaching ; 곽철호, 김석근 역, 『설교의 비전』 (경기 이천: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8) 1. 설교는 성경적인 것이다. Preaching is biblical. 성경적 설교란, 교회지도자가 예배를 위해 모인 그리스도인 모임에서, 신학적 석의로 분별 한 성경 문단(pericope)의 핵심 요지와 그것을 그 특정한 그리스도인 공동체에게 적용한 내 용을 전달해, 그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게 하는 것인데, 이 모 든 과정을 성령의 능력으로 행하는 것이다. 1) 성경의 고전적 본성 ① 성경은 영속적이다. Œ 성경이란 책은 지난 수천 년 동안 그 영속적 특성을 충분히..

특강 2023.10.16

[특강] 프리칭 텍스트 | 요약

- 1 - 프리칭 텍스트 텍스트 , Preaching Text, Text Preaching) 프리칭 ( , ) 설교하는 본문 본문이 일하는 설교 김대혁 지음 들어가는 글 (p.8-) 설교 작성을 하면서 스스로에게 던지는 세 가지의 질문 나는 하나님의 말씀 행위인 - 성경 텍스트에 대한 신앙 고백에 걸맞은 방식으로 설교를 작성하 고 있는가? 내가 구현하는 설교 작성법을 남들에게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나의 설교 작성 방식에 정말 스스로 납득되는가? 배우고 있는 이론과 실천 사이의 틈을 메꾸고자 하는 점에서 도전이 되는 책이다. ‘ ’ 본문이 일하는 설교 라는 문장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의 강조점 첫 번째 본문 즉 , ‘ ’ .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이자 하나님의 일이다 특별히 본문성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

특강 2023.10.16

[특강] 포브릿지 프리칭 | 요약

- 1 - 포브릿지 프리칭 (FOUR BRIDGE PREACHING) 지은이: 박현신 펴낸곳: 사)기독교문서선교회(CLC) 편찬일: 2017년 9월 22일 초판 발행 책 구성 프롤로그 제1부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을 위한 해석학적 기초: 왜,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이 필요한가? 제1장 설교 적용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적용 해석학의 필요성 제2장 기존의 다리놓기 모델에 대한 발전적 평가 제3장 청중의 삶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으로서의 네 다리놓기를 향하여 제2부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을 위한 성경적 모델 제1장 구약의 모델 제2장 바울의 설교에 나타난 패러다임 제3부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을 위한 역사적 모델 제1장 존 크리소스톰의 설교 적용 패러다..

특강 2023.10.16

[특강] 본문이 이끄는 설교 | 요약

본문이 이끄는 설교 ● 서론 다니엘 애킨은 “우리가 무엇을 말할 것인지는 그것을 어떻게 말할 것인지보다 더 중요하다. 하지만 어떻게 말할 것인가라는 주제가 더 중요하게 다루어진 적은 한번도 없다”고 주장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3가지 요소가 본문이 이끄는 설교에 필수적이라고 믿는데, 첫째, 하나님께 서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에게 자신의 최종적인 말씀을 하셨다. 둘째, 성경은 권 위 있고 무오하며 완전한 하나님의 말씀이기에, 우리의 표어는 항상 ‘본문이 왕이다’다. 셋째, 설교자는 본문의 권위에 복종한다. 따라서 성경 저자의 관점을 독자 자신의 관점으로 대치해 본문을 다루는 포스트모던의 독자 반응 중심의 해석학적 접근을 피하고, 해석자로서 설교자는 본문에 접근할 때, 가능한 한 자신의 선이해나..

특강 2023.10.16

[특강] 유진 L. 라우리 『생명력 있는 설교』| 요약

유진 L. 라우리 『생명력 있는 설교』 “긴장이 사라지면 설교는 끝난 것이다.” 해돈 로빈슨(Haon Robinson) 1. 내러티브 설교란(서론, p.27-32) 유진 라우리(Eugene L. Lowry)는 현대설교학에서 내러티브 설교를 주창하는 학자 이다. 그가 말하는 내러티브는 곡을 연주하듯이 차례차례 한 줄씩 표현을 구성하는 것이 다. 따로따로 음을 켜는 것은 연주가 될 수 없듯이, 이야기 또한 설교의 기본적 수단인 시간에 따라 나타나야 한다. 2. 내러티브의 세 가지 차원(2장, p.33-117) 저자는 ‘설교는 시간’이라는 정의가 설교에 대한 적절한 정의라고 말한다. 여러 학 자들은 이와 유사한 작업에 다른 용어들을 사용해왔다고 언급한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지 만 공통적으로 설교는 시간의 흐름..

특강 2023.10.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