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특강 84

기독교 변증 1강

예 우리 권 선생님 잠시 소개해 드리면, 전공을 서울대학에서 철학과 하셨고 그다음에 이제 MDM 과정은 고신 대원에서 하셨죠. 그 후에 주로 철학 쪽으로 해 가지고 예일대학에서 STM 그다음에 PST 과정을 하시고, 또 한국 교회의 목회 사역도 오랫동안 하시고 그래서 신앙적인 신학적인 부분과 또 목회학적인 어떤 부분을 겸비하신 그런 분입니다. 제가 이번에 이거 준비하면서 제가 뭐 책도 좀 보고 아 책도 소개 좀 할까요? 예 감사합니다. 최근에 3권을 샀습니다. 이 강의하기 전에 읽어볼라고 3권을 샀는데 다행히 딱 3권 샀는데 방금 요 책은 내가 안 샀는데 방금 저한테 선물로 주셔 가지고 딱 4권을 맞았습니다. 01:05한국에 최근에 오셔 가지고 아마 오시면서 왔다 갔다 하시면서 제 책이 다 비슷비슷한 연..

특강 2024.06.21

기독교 변증 5강

이제 성경에 나와있는 변증과학하고 우리 교회사의 변증과학을 시간이 되는 만큼 좀 살펴보려고 하는데 이제 한 50분 남았습니다마는 성경에 나와있는 변증은 크게 구약에서는 아브라함 신약에선 사도바올의 변증 그다음 베드로의 변증 3개인데 아브라함의 경우에는 이 아브라함의 변증을 신약성이 굉장히 강하게 언급을 합니다. 히브리 11장도 이야기를 하고 베드로 전스 2장과 3장에서 언급을 하고 있는데, 베드로 전 3장에 나와있는 베드로의 변증이 사실은 아브라함의 변증을 그대로 반영하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아브라함의 변증은 많은 경우에 유대인들의 영향 때문에 본문의 뜻이 왜곡되어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지금 창세기 23장에서 사라를 묻을 매장지를 해쪽 속으로부터 구매하는 그런 장면인데 아브라함이 그 구매하기 ..

특강 2024.06.21

[설교] 베드로후서 1장

오늘 베드로 후서일정 말씀을 통해서 말씀에 깨닫는 지혜와 응답받는 기도의 은총이 우리가 넘치게 될 줄로 믿습니다. 오늘부터 베드로 후소를 시작합니다. 베드로 전서가 박해받고 고난 받고 이제 죽어가는 흩어진 나그네들 바로 흩어진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 대한 위로와 권면의 책이었다면 후선은 조금 성격이 다릅니다. 베드로 전설을 쓰고 나서 사실 베드로는 편지를 쓸 생각이 없었어요. 왜냐하면, 바울이나 요한처럼 성격 자체가 뭔가를 꼼꼼하게 쓰는 이런 성격이 아니었죠. 설교하면 1번 설교하면 3천 명 5천 명씩 회계하는데 굳이 뭐 하러 이런 편지를 쓰겠어요. 그런데 지금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돼버린 거예요. 쓸 수밖에 없는 상황 왜 그러냐면 이제 초대 교회의 신앙이 뭐였냐면 예수님은 바로 오신다 였어요. 지금 오..

특강 2024.06.11

Growing Young 그로잉영

Grroowiinngg YYoouunngg Ⅰ. 들어가며 본 수업의 목표인, 목회적 돌봄 사역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성령 하나님의 조명하심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을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되도록 돕는 것 이다. 이는 다음 세대도 또한 예외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목회자인 우리는 이미 변두리에 밀 려난 소위, 현 세대가 아닌 다음 세대라 불리는 청소년, 청년들을 예수님과의 긴 여정을 따르 도록(제자도) 돌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수긍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우리에게 쥐어진 열쇠 꾸러미를 어떻게 그들 각자에게 맞는 마스터키를 건네줄지 속 시원한 답, 곧 ‘본 질을 핵심으로 한 실천 전략’을 상세히 알고 구현하기를 원한다. 본인도 또한 이 시대의 조류 에 반하는 사역의..

특강 2024.05.27

그로잉영 Growing Young 요약

1 . 장 젊어지는 교회되기 : 공동체가 집중하고 있는 것 [ 주요 주제들 ] - 우리 교회 전체는 우리를 그저 미래의 교회가 아니라, 지금의 교회처럼 여기고 있어요. - . 우리는 단지 그게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 (Growing old) . 고령화 가 주는 유익이 전부가 아니다 - 진실은 모든 , . 교회에 청소년과 청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열정은 주변의 토양을 비옥하게 만든다 그들의 . 성경에 대한 호기심과 관계에 대한 진정성은 교회의 가르침을 계 속해서 새롭게 하며 풍성한 우정의 열매를 맺게 한다. - 청소년과 청년에게는 건강하게 성장하는 교회가 필요하다. ( ) . ① 그들이 청소년과 청년들이 공동체 안에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한다 . ② 지역사회에 뿌리내리게 도와준다 . ③..

특강 2024.05.27

대구 청년부의 문제점 분석

1. 서론 다음세대의 위기가 있다면, 그 중에 언제나 두 가지 문제는 항상 있지 않았을까 싶다. 첫째는, 다른 세대가 되지 않기 위한 신앙 교육의 문제이다. 성경을 바르게 이해하고 가 르칠 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면 기성세대의 좋은 신앙의 모습을 물려받으면서도, 한편으로 기성세대의 모습을 반면교사 삼아 실족하지 않으며, 오늘날 다음세대에 도전하는 현대문화 를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하고 변혁하며 나아갈 것인지 고민이 많다. 둘째는, 다음세대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신앙인구절벽의 문제, 소멸세대의 문제이다. 어느 교회든 다음세대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좋습니다’ 라고 말할 교회는 하나도 없을 것 이다. 모든 교회는 영적 인구가 어떻게 하면 증가할 수 있는지 관심을 가지고 고민하며 각 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특강 2024.05.20

[특강] 마인드업 상담 미니스트리

고통을 경험하는 청년들의 마음회복을 위한 성경적상담 실천 사례: -마인드업상담 미니스트리 중심 - 2 - 목 차 Ⅰ. 들어가는 글 ························································· 3 Ⅱ. 성경적상담 사역의 필요와 목적 ········································ 3 1. 고통에 대한 정의 및 성경적 관점 2. 성경적상담의 필요과 목적 ···········································4 Ⅲ. 상담사역의 청년 영혼돌봄 실천방안··································· 6 성경적상담 사역 모델: ‘마인드업상담 장학 프로젝트’ 1. 출범 배경 및 방향성 2. 협력기관: 드림스폰과..

특강 2024.05.20

[특강] 청년들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 서평

- 1 - David Kinnaman, You Lost Me ; 이선숙 역, 『청년들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15)  Ⅰ. 배경 1. 저자 소개1) 데이비드 키네먼(David Kinnaman, 1973~)은 여 론조사를 통해 신앙과 문화의 상호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기독교 리서치 그룹 ‘바나 그룹’(Barna Group)의 대표이다. 1995년 인턴으로 바나 그룹에 입사한 이래 지금까지 미국성서공회, 빌리 그레이엄 전도협회, 컴패션, 월드비전 같은 기독 단체를 위해 수백 건이 넘는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분석해왔다. 아울러 신앙, 영성, 여론, 정치적 태도, 문화적 역 동 등을 주제로 80건이 넘는 전 국민 여론조사를 감 독했다. 그가 바나 그룹에 소속되어 진행한 인터뷰만 해..

특강 2024.05.20

[요약] 청년들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You lost me

- 목차 - 서론 그 많던 청년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 1 1 ···································································· 1 부 교회를 떠나는 사람들의 고백 01.방해받는 믿음 ··························································································· 1 02. , , 접근 소외 권위의 변화 ············································································· 4 03.방황하는 유목민..

특강 2024.05.20

[특강] 주일학교는 어떻게 시작됐는가?

주일학교 출발은? 영국 산업혁명?다음세대에 대한 출발! 산업혁명은 어케 출발? 주이학교 어케 이끌어냄?주일학교에 대해서! 역할의 제한론이 있어서 그렇다어케?  주일학교는 교회학교가 아니라 산업혁명에 의해서 많은 애들이 공장에서 일하기 시작함문제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녀는 일안해도 기본적으로 교육 받고 사회 구성원으로 혜택받는데산혁 이후에 계층화가 구조 안에서 주어지기 시작함 부자와 가난한자공장이라든가 기반시설로 인해서 노동력 투입되어야 하는데 애들이 일하기 싲가함그래서 애들이 일하는 도구일뿐 아니라 교육을 못 받아그래서 만든게 선데이 스쿨 제도다데려다가 주일날 하루종일 애들 위해서 교육하는거다교회학교가 아니라 사회에서 만들어 놓은 대안방식이다 교회 주일학교는 원래 고아들 위한 접근이다 사회도 약자 위해서 ..

특강 2024.05.20
728x90
반응형